카테고리 없음

가정영영학과 가정경영철학

dbfls00 2020. 7. 3. 20:30

 

가정 경영학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가정의 본질과 현상을 통하여 인간과 인간 생활을 파악하는 분야로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상훈 인간과 사물의 관계나 그에 관련된 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한다 지금까지 가정 경영학은 실제 가정생활에 초점을 두었으며, 상대적으로 가족 개인에 관한 문제는 소리 다루었다. 가정생활 현상이 연구된 주된 대상 기 때문에 가족은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본질은 상대적으로 경시되었고, 따라서 가정에 관한 근본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이치방 가서는 가정생활을 다루는 학문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했으며, 하다라는 가정생활에 진선미 건,이 권, 성 등의 7가지 가치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그는 이 가치 중 ‘참되고 아름다우며, 선하고 성스러움'에 대한 목적 가치가 건강하고 이로우며, 힘을 소유하는데에 대한 수단가치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목적가치 중에서도 '진이 미'보다 '선이나 성'에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가정본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인간보다는 사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생활의 기술이나 그와 관련된 실증 결과를 중시하는 양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가정경영학에서는 인간에 관한 본질적인 문제를 규명하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더욱이 가정경영학의 시각이 고려되지 않은 채 경영학이나 경제학 등과 같은 인접학문 분야의 방법론을 적용시키려는 시도에 따라 가정경영학이 독자적 학문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치 못하다는 인식마저 제기 되었다.

 

그러므로 가정경영학의 본질과 현상은 인간을 중심에 놓고 기본적인 인간생활이 이루어지는 가정을 전제로 규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시각은 필연적으로 가정경영의 철학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요한다. 진정한 의미의 가정경영학을 확립하기 위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간의 다양성과 공동의 원리'를 규명해야 하며, 나아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규범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가정경영철학을 우선적으로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과 가정의 본질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가정경영의 중심이 인간인 점을 고려할 때, 인간존재의 문제를 명확히 하는 일이 필요하며, 이는 실존철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실존철학의 관점에서 인간이 생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가가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실존주의자들이 실존철학에 기초하여 인간을 냉혹하고 엄격한 관점에서 파악한 것과는 달리, 볼노우는 집을 인간생활의 중심이며, 가정을 통하여 밝은 미래를 이루어나갈 수 있다고 보았꼬, 신뢰, 희망, 안정, 고향 등을 중시하여 생의 본질을 파악하였다. 그러므로 볼노우의 공간과 시간, 합리성과 비합리성, 개인과 가족, 인간생활과 집에 관한 견해를 기초로 가정경영학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