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4. 10:00ㆍ카테고리 없음
폐쇄가정에서는 자급자족의 형태로 생산과 소비기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은 폐쇄가정을 개방가정으로 변화시켰으며 개방가정은 시장교환을 통하여 가정경영의 기능을 분화시키게 되었다. 즉 가정경영의 기능은 생산과 소비의 대내적 기능과 구매와 공급의 대외적 기능을 분화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품교환'을 통한 공급기능이 새롭게 분화되었다고 해서 가정의 대내적 기능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 교환수단이 발전하면서 가정의 부차적인 기능으로써 금융기능이 파생되었다. 교환수단인 화폐가 대내적 기능과 대외적 기능 사이에 개입되면, 공급자와 수요자의 기능이 구분되고, 시간적.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가정으로부터 '시장생산'을 분리시키게 된다. 즉 가정은 시장에서 기업에 노동력을 제공하여 받은 대가로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 교환수단인 화폐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재량권을 제공해준다. 화폐를 소유함으로써 갖게 되는 재량권은 화폐 자체를 또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게 되므로, 공급이나 판매활동의 목표가 다른 형태의 상품이 아닌 화폐 자체로 대체된다. 이로써 노동력의 제공은판매기능이 아닌 화폐획득기능으로, 재화 및 서비스의 구매기능은 상품조달기능이 아닌 화폐사용기능으로 변화되었고, 시장기능을 실제 상품의차원에서가 아니라 화폐차원에서 파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정에서는화폐를 소유하고 관리하며 지출하는 조달기능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한편 가정의 기능에는 포괄적인기능으로서 관리기능이 있다. 관리기능은 본질적기능과 금융기능을 지배한다. 가정에서는 대내적 기능, 대외적 기능 및 금융기능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각 기능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결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각 기능영역간, 그리고 가족원간의 서로 다른 의사결정 활동을 조화시키는 배치과정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과정을 포함하는 포괄적 기능이 관리기능이다.
가정의 생산기능은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과 관련된 가정 내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가정의 생산기능은 다른 기능과 비교해볼 때, 학문분야게 따라 매우 다른 평가를 받아 왔다. 예를 들면 국민경제학에서는 가정의 생산기능이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반면, 전통가정경제학에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가정의 생산기능이 갖는 중요서은 보는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